안녕하세요 ㅎㅎㅎ
오늘은 정말 뜬금없이 그냥 양치질하다가 눈앞에 치약이 보여서
치약은 어쩌다 만들어졌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한번 글을 써봅니다
치약이란?
일단 치약이란 구강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치아를 깨끗하게 하고 구강 냄새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죠??
현대 사회에서 치약이 없으면 남녀간의 사랑이 이루어질 확률도 급격하게 줄어들거라고 감히 장담합니다
요약 : 치아를 청결하게 하고 연마할 목적으로 칫솔에 묻혀 사용하는 약물성 복합물질. (출처 : 두산백과)
치약의 유래
치약의 유래는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간다고 하는데요, 이집트인들은 화석화된 상어 이빨과 소금을 혼합해서 치아를 닦았다고 합니다. 또한 로마인들은 소변(?)을 사용해서 양치를 했다고 하는데요. 현대에도 암모니아를 포함한 치약이 사용된 적이 있는데, 실제로 소변의 암모니아 치아를 깨끗하게 만드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ㅋㅋㅋㅋ
그 옛날에 이런걸 어찌 알았는지 신기할 따름입니다.
그 이후로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서 치아를 닦는 방법이 발전하다가 19세기에 이르러서 현대적인 치약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치약 개발자
치약을 개발한 사람은 19세기 영국의 화학자인 드. 워시턴 시플라기입니다 ㅎㅎㅎ 그는 1850년대에 치약을 개발해서 상업적으로 생산했으며, 이후로 치약이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구강 건강이 전체적인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구강 내 세균의 증식은 심장병, 당뇨병, 초기출산 등 다양한 질병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라 치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ㅎㅎ
치약의 시원한 향??!!
치약하면 기본적으로 그 입안을 시원하게 해주는 향이 기본적으로 떠오르실텐데, 언제부터 그런 향이 입혀지게 된걸까요??
보통 알려지기로 20세기 초반부터로 알려져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주로 소금, 베이킹소다, 페퍼민트 등의 재료를 사용해서 치아를 닦았지만, 시원한 향을 추가하고 그를 통해 마케팅을 진행하였는데 이게 성공적이었다고 하죠.
원래는 초창기 치약에는 이러한 시원한 향은 없었지만 마케팅으로 인해서 어느새 치약 = 상쾌한 향 이라는 공식이 생성되게 된 것이죠ㅎㅎ
치약의 연간 소비량
치약의 연간 세계 소비량은 약 200억 달러에 이른다고합니다.ㅎㅎㅎ 이제는 치약은 현대인들에게 절대 빼놓을 수 없게 되면서 그 수요도 자연스럽게 증가하였죠. 특히 요새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치약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합니다. 대한민국의 연간 치약 소비량은 약 1억 5천만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ㅋㅋㅋ 한국인들은 구강 위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자리잡았죠.
한국의 치약 브랜드
한국에는 다양한 치약 브랜드들이 있으며, 주요한 브랜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오랄비 (Oral-B)
2. 콜게이트 (Colgate)
3. 라이온 (Lion)
4. 덴티스 (Dentiste)
5. 뉴트로닌 (NeutroN)
6. 덴티노 (Dentino)
7. 덴티메이트 (Dentimate)
이 외에도 다양한 치약브랜드들이 있으며, 각자의 용도에 맞는 치약을 잘 선택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레스타인에 대하여 (건국, 영토, 인구, 경제 등등) (0) | 2023.10.13 |
---|---|
캐나다에 대하여 (건국, 영토, 인구, 경제, 군사력 등등) (2) | 2023.10.12 |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정보 (4) | 2023.10.11 |
물티슈의 유래 및 정보 (2) | 2023.10.10 |
콘택트 렌즈의 유래 및 정보 (2)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