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관부처. 지자체 :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수행기관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신청기간 : 2023.10.11 ~ 2023.10.20

사업개요 : KOTRA에서는 과거 수출이 있었으나 수출이 중단된 기업 대상으로 기존 바이어와의 교신 지원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규 바이어 발굴 및유망시장 추천을 지원 예정인바, 관심 있는 기업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과거 수출이 있으나 '22년 수출이 중단된 기업

 

기존 바이어 재교신 및 신규 바이어 발굴지원

사업 공고 링크 : https://kotra.or.kr/subList/20000005986/subhome/bizAply/selectBizMntInfoDetail.do?pageNo=&pageNo2=4&dtlBizId=PUOMRC23101100000001&cpbizYn=N&bizClCd=&unitBizClss1Cd=&searchCondition=bizName&schwrdVal=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KOTRA 무역투자24 - 사업신청 홈 페이지 입니다.

kotra.or.kr:443

★(필수제출서류) 참가신청서_엑셀.xlsx
0.01MB
2023 수출중단 및 내수기업을 위한 수출 리스타트 사업 2차.pdf
0.20MB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스라엘과 분쟁중인 팔레스타인에 대해서 좀 알아보려 합니다. 물론 팔레스타인이라는 국가와의 분쟁은 아니지만 팔레스타인 내부의 하마스와의 분쟁이기 때문에 팔레스타인이라는 국가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팔레스타인의 역사

1. 고대 역사 : 팔레스타인 지역은 고대부터 다양한 문명과 제국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나안, 히브리, 아소르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비잔티움, 이슬람 칼리프국, 실라,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제국과 민족 집단이 이 지역에서 통치를 했었습니다.

 

2. 시온주의 운동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면서 유대인들의 시온주의 운동이 더욱 활발해지며, 유대인들의 귀향과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국 재건을 촉구하게 되었죠. 여기서 시온주의 운동이란 유대인들이 고대 이스라엘의 영토인 시온(예루살렘)으로 귀환하고 유대국을 다시 세우는 것을 촉구하는 정치, 종교, 문화 운동입니다.  

 

3. 오스만 제국 통치 :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팔레스타인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 아래에 있었습니다.

 

4. 불꽃의 년 : 1917년, 제 1차 세계 대전 중에 영국은 팔레스타인을 점령하였고, 아서 발포어 벌크만이 1917년 11월 2일 발포어 선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선언은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타인 지역에 자유롭게 정착할 권리를 부여하였으며, 이는 이후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분쟁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5. 유럽 분할 계획 :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을 유대국과 아랍국으로 분할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서 1948년 이스라엘 건국이 선언되었습니다.

 

6. 아랍-이스라엘 전쟁 : 이스라엘 선언 후, 주변 아랍 국가들과의 갈등으로 아랍-이스라엘 전쟁이 발발하였으며, 그 결과로 팔레스타인 지역은 분할되고, 유대인들과 팔레스타인 아랍인들 간의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7. 팔레스타인 국가의 선포 : 1988년 팔레스타인 국가가 선포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의 영토와 인구

1. 지리 

 팔레스타인은 중동 지역에서 동지중이라고도 불리는 지역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지중해 해안 지역에서 시작하여 요르단 강과 북부 사이로 펼쳐져 있습니다. 이 지역은 지중해 연안의 납부에서부터 요르단 강을 경계로 한 북부까지 확장되며, 중요한 지역인 예루살렘을 비롯한 다양한 도시와 중요한 역사적 유적지가 존재합니다.

 

2. 정치적 현황

 팔레스타인은 현재 이스라엘과의 갈등으로 주목받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1947년 유엔의 분할 계획을 통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영토 분할이 시도 되었지만, 그 후에도 지역 갈등과 분쟁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 1993년 오슬로 협정을 통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교섭 대표단 간에 협상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웨스트뱅크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만들어졌습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주로 웨스트뱅크와 가자 지구에 행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는 주로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거주합니다.
  • 가자지구 :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통제하는 영역 중 하나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해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가자시티가 있으며, 이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행정 중심지 중 하나입니다.
  • 웨스트 뱅크 : 웨스트뱅크는 이스라엘이 1967년 6일 전쟁에서 점령한 지역 중 하나이며,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행정을 받고 있습니다. 웨스트뱅크 지역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과 유대인들이 함께 살고 있으며, 예루살렘도 웨스트뱅크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3. 인구

  • 팔레스타인 아랍 : 팔레스타인 아랍인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인구 그룹으로, 이슬람과 크리스천 등 다양한 종교를 신봉하며, 아랍 문화를 공유힙낟.
  • 유대인 :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유대인들도 살고 있으며, 이스라엘의 건립 이후 이스라엘로 이민한 유대인들이 많습니다.
  • 기타 민족 집단 :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다른 민족 집단도 존재하며, 그 중에서는 크루드, 차르족 , 돔 등이 있으며 각자의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 팔레스타인 지역의 인구수는 대략 500~ 600만명 사이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의 경제

팔레스타인의 경제는 주로 3가지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1. 농업 : 팔레스타인 지역은 농업에 적합한 기후와 토양을 갖추고 있으며, 올리브 오일, 채소, 과일 등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합니다. 특히 올리브 오일 생산이 총 농업 생산물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2. 제조업 : 제조업 부문은 작은 규모로 발달하고 있으며, 주로 가공식품, 가구, 석재 가공, 섬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생산합니다.

3. 서비스업 : 서비스업 부문은 팔레스타인 경제 주요 부문 중 하나로 금융, 교육, 건강, 호텔 및 관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갈등으로 인해서 국경 통제, 이동 제한, 무역 장벽 등이 생기면서 어려움은 지속되어왔는데, 최근 들어 발발한 전쟁으로 그 상황은 더욱더 악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팔레스타인은 전통적으로 인프라 부족이 심한 나라입니다.


팔레스타인의 종교

1. 이슬람

  • 이슬람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가장 큰 종교이며,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아람인들이 이슬람을 신봉합니다. 팔레스타인의 이슬람은 주로 산막스 성정(알-아크샤)와 이징 마스크 등의 성역을 중요한 종교적 장소로 여기며, 예루살렘은 이슬람 세계에서 성스럽게 여기는 도시 중 하아입니다.
  • 이슬람은 여러 분파로 나뉘며,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분파는 수니파와 시아파입니다. 팔레스타인의 수니파 이슬람이 다수를 차지하며, 가자 지구와 웨스트뱅크 지역 모두 이슬람 종교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2. 기독교

  • 팔레스타인은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곳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가 존재하고 주요 교파로는 극동 정교회, 로마 가톨리, 복음주의, 루터교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새 캐나다와 인도 간의 분쟁이 심해지고 있죠 ㅠㅠ 전세계적으로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좋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캐나다라는 국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 합니다 ㅎㅎ


캐나다의 역사

1. 원주민의 캐나다

캐나다의 역사는 수천 년 동안 원주민들이 이 지역에서 살아온 역사로 시작됩니다 ㅎㅎ 원주민들은 수천 년 동안 북아메리카 대륙을 횡단하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가졌습니다. ㅎㅎ 사냥,어업,농업,예술 및 신앙 실천 등 다양한 생활 양식을 가지고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를 생성했습니다

 

2. 유럽의 도착

15세기 말, 유럽 탐험가들이 북아메리카에 도착했습니다. 1497년 이탈리아 탐험가 존 카보트는 뉴펀들랜드의 북부를 발견했고, 그 후 프랑스와 영국의 탐험가들이 이 지역을 탐험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탐험은 유럽인들과 원주민들 간의 교류의 교역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3. 뉴프랑스와 영국 식민

16세기 말, 프랑스 탐험가들은 뉴프랑스라는 명칭으로 캐나다의 일부 지역에 식민지를 설립했습니다. 뉴프랑스는 현재의 캐나다와 미국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광대한 영토였습니다. 동시에 영국은 뉴스코샤와 뉴브런즈윅 지역에도 식민지를 만들었죠. 이 상황에서 뉴프랑스의 세력은 계속해서 커져갔습니다.

 

4. 팔팔틴 전쟁과 뉴프랑스의 양도

팔팔틴 전쟁(1756~1763)은 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으로, 그 결과로 프랑스는 뉴프랑스의 대부분을 영국에 넘겨주게 되었습니다. 1763년 파리 조약으로 뉴프랑스의 양도가 확정되었는데, 이것은 캐나다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영국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캐나다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죠.

 

5. 아메리칸 혁명과 유엔 연합

1775년, 미국에서 아메리칸 혁명이 시작되면서 많은 유엔 식민지가 북쪽으로 이주했고, 이를 기반으로 캐나다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1783년 파리 조약으로 영국은 미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많은 이주민으로 캐나다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갖춘 지역이 되었습니다.

 

6. 1867년 대영 북아메리카 연합

1867년 캐나다,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그리고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가 대영 북아메리카 연합을 구성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통치 아래 자치 정부를 수립했습니다. 이로써 캐나다는 현재의 영토를 차지하게 되고 토론토를 수도로 정하고 자치 정부를 수립했습니다.

 

7. 철도와 서부개척

19세기 말, 캐나다는 철도 건설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광산 개발을 하면서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철도망은 동부, 서부 캐나다를 연결하면서 서부로의 이민과 자원개발을 촉진했습니다.

 

8. 자치권 확장

20세기 초, 캐나다는 점차적으로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더 보장받게 됩니다. 1931년 웨스트민스터 입법으로 캐나다는 외교적으로 완전한 자주성을 획득했습니다. 1982년에는 캐나다 헌법을 개정하면서 완전한 헌법적 독립을 이룩했습니다. 이로써 캐나다는 외부 국가의 개입 없이 자신의 법률과 헌법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했죠


캐나다의 영토와 인구

1. 영토와 지리적 특성

캐나다의 영토는 9,984,670 제곱 킬로미터로, 세계에서 다섯손가락 안에 꼽히는 큰 국가입니다. 국가 전체는 대륙적 규모로, 동부에서 서부로 5,500킬로미터 이상, 남부에서 북부로 약 4,600킬로미터 이상에 걸쳐져 있어서 다양한 기후와 지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북부 지역은 대부분 깊은 숲, 빙하, 산악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부 지역은 주로 숲과 호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캐나다는 3개의 대양과 접해 있어 해안선이 길고, 대서양과 북극 해양의 영향을 받습니다.

 

2. 지리적 구획

캐나다는 10개의 주(프로빈스)와 3개의 테리토리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주는 뉴펀들랜드와 래브라도,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스코샤, 브루스 콜룸비아, 알버타, 사스카츄완, 매니토바, 온타리오, 퀘벡, 노바스코샤, 노스웨스트 테리토리, 요크 지역, 눈빈 테리토리 등으로 나뉩니다.

 

3. 인구와 다문화 사회

캐나다의 인구는 대략 4000만 명으로 추정되며, 계속해서 인구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다문화 사회로 알려져 있어, 다양한 인종, 문화, 언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이민은 캐나다의 인구 증가와 다양성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모두가 알듯이 캐나다는 이민자를 굉장히 환영하는 나라이죠.

 

4. 도시와 인구 분포

캐나다의 인구는 주로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토론토, 몬트리올, 벤쿠버, 캘거리, 에드먼턴 등의 대도시가 인구 밀집 지역으로서 높은 인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토론토와 몬트리올은 캐나다의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업종과 다문화 사회가 혼재하는 도시입니다. 벤쿠버는 멋진 자연 환경과 금융 분야에서의 중요성으로 높게 평가되며, 캘거리와 에드먼턴은 자원 개발과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죠.

 

5. 원주민과 인디진어스 커뮤니티

캐나다의 원주민 및 인디진어스 커뮤니티는 국가의 인구 구성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들은 지속적으로 문화적 이벤트와 축제를 개최하고 자신들의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6. 언어와 다양성

캐나다는 공식 언어로 영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퀘백 주는 프랑스가 주요 언어이고, 온타리오와 다른 주는 주로 영어를 사용합니다.


캐나다의 경제

1. GDP 및 경제 성장

캐나다의 GDP는 2조 달러 이상이 되는 것으로 추산되며, 주요 부문으로는 자원개발, 제조업, 서비스 산업, 기술 및 정보 기술(IT) 등이 있습니다. 자원 개발은 캐나다 경제의 중심 부문 중 하나로 석유, 천연 가스, 광물 자원, 임산물 등이 풍부합니다.

 

2. 주요 산업 부문

  • 자원개발 : 캐나다는 세계에서 주요 석유 및 천연 가스 생산국 중 하나로, 알버타주의 오일샌드와 사스카츄완의 유막에서 다량의 에너지 자원을 생산합니다. 또한 광산에서는 금, 니켈, 알루미늄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을 채굴합니다.
  • 제조업 : 자동차, 항공기, 철강, 목재 가공 및 식품 제조 등 다양한 제조업 분양에서 산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산업 : 금융, 보험, 의료, 교육,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정보 기술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 분야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3. 국제무역

캐나다에게 미국은 가장 큰 무역 파트너로서, 캐나다의 수출의 대부분이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석유, 자동차, 천연 가스, 광물, 목재, 철강 제품 등이 있고,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기계류, 전자제품, 의약품, 차량 부품 등이 있습니다.


캐나다의 이민 정책

1. 주요 이민 프로그램

  • 경제 이민 프로그램 : 캐나다는 경제적으로 가차 있는 이민자를 데려오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FSWP), Canadian Experience Class(CEC), Provincial Nominee Program(PNP), 그리고 Express Entry System 이 있습니다. 이들 프로그램은 이민자들의 연령, 언어 능력, 학력, 경험, 직업 기술 등을 평가하여 이민자를 선택합니다. 특히 Express Entry System은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민 신청서를 처리하며, 높은 점수를 받은 이민자들에게 영주권을 부여합니다.
  • 가족 이민 프로그램 : 캐나다는 가족 단위의 이민을 지원합니다. 가족 단위 이민 프로그램으로는 Spouse or Common-Law Partner Sponsorship Program, Parent and Grandparent Sponsorship Program 등이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을 통해 캐나다에 이미 거주하는 가족이 다른 가족 구성원을 초청하여 이민을 할 수 있습니다.
  • 난민 및 인권 이민 프로그램 : 캐나다는 난민과 인권을 침해받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죠.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Refugee and Humanitarian Resettlement Program 과 Private Sponsorship Program이 있으며, 난민 신청자 및 인권 침해 피해자에게 도움을 줍니다.

 

2. 이민자 선발 기준

  • 나이 : 캐나다는 18세에서 54세 사이의 이민자를 선호합니다.
  • 언어 능력 : 이민자는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IELTS 나 TEF 등의 언어 시험을 통해 언어능력을 측정합니다.
  • 학력 : 고등 교육 또는 학사 학위를 가진 이민자가 높은 점수를 얻습니다.
  • 직업 경험 : 캐나다는 이민자의 이전 직업 경험을 평가하며, 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과 Express Entry System 에서는 직업 경험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합니다.
  • 고용 잠재력 : 캐나다에서 적절한 직업을 찾을 수 있는 능력도 평가대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요새 이스라엘과 가자 지구(하마스)와의 전쟁 발발으로 전세계가 시끄러운 현실입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이후로 또 한번 이슈가 되고 있어서, 분단 국가에 살고 있는 저희로써는 마냥 남의 일이라고 치부하기는 힘든 현실입니다. 
 
냉전시대 이후로 몇십년간 평화를 유지해온 세계의 평화가 깨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합니다. 부디 이번 이스라엘 분쟁이 중동 전쟁으로까지 이어지지를 않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입니다.
 
오늘은 이런 이슈들로 인해서 이스라엘이라는 국가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 합니다.


이스라엘 건국 시기

이스라엘은 1948년 5월 14일에 독립을 선언하고, 유엔에서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의 독립을 인정한 이후에 국가로 성립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은 유대인들의 국가로써 인정을 받았고, 중동 국가들과의 본격적인 갈등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죠. 팔레스타인의 입장에서는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냈다는 생각에 지금까지 갈등이 이어졌고, 그것이 이번 분쟁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이스라엘 영토 크기

이스라엘의 총 영토 면적은 약 20,700 제곱 킬로미터로, 중동 지역에 위치하며 지형은 다양하고, 지중해 연안부터 네게브 사막까지 다양한 지형이 존재합니다.


이스라엘 인구수

이스라엘의 인구수는 약 940만 명이며, 현재는 1억을 넘었을거로 예상됩니다. 이스라엘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다국적 국가로서, 유대인, 아랍인, 드루즈, 그리고 다른 소수민족 집단들이 함께 살고 있지만, 주류은 유대인입니다.


이스라엘 중동국가 간의 분쟁

1. 아랍-이스라엘 분쟁

  • 역사 : 아랍- 이스라엘 분쟁은 이스라엘이 세워진 1948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성립 이후, 이스라엘 주변 아랍 국가 간의 국경, 영토, 인구, 정치적인 문제등으로 다양한 갈등이 벌어졌습니다.
  • 주요 갈등 지역 : 가자 지구, 서해사방지역, 그란데지구 등 다양한 지역에서 국경 분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1948년, 1956년, 1967년, 1973년 전쟁 등 다수의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였고, 많은 인명피해가 일어났습니다.
  • 오슬로 협정(1993), 캠파 데이비드 협정(1979), 200년 캠프 데이비드 회담 등 여러 번의 평화 협상이 시도 되었지만, 완전한 평화는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2. 팔레스타인 문제

  • 팔레스타인과의 분쟁은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지속되고 있습니다.
  • 주요 갈등 지역 : 서해사방지역, 가자 지구, 팔레스타인 레퍼지빅, 예루살렘 등 

3. 레바논과 헤즈볼라

  •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관계는 헤즈볼라가 주요 갈등의 축입니다. 헤즈볼라는 레바논 내의 무장단체로 이스라엘과 꾸준한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 주요 갈등 지역은 이스라엘 - 레바논 국경지역입니다. 이스라엘의 북부 지역에 해당합니다.

4.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

  •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은 이스라엘의 존립과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관련이 깊습니다. 많은 분쟁 중에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긴장도가 가장 높은 상태이비다.
  •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은 중동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경제

이스라엘의 GDP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분야는 기술 산업 및 정보통신 기술(IT) 분야입니다.
 
1. 기술 산업

  • 이스라엘은 20세기 중반부터 기술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연구 및 혁신을 추구해왔습니다. 이는 군사분야, 보안 기술, 의료, 생명과학, 인공지능, 로보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이스라엘은 스타트업 생태계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고, 세계적으로 "스타트업 네이션"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텔아비브와 쥬르살렘은 스타트업 기업의 중심지로 인정받고 있죠.
  • 이스라엘의 스타트업은 글로벌 기업과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국가로 유명합니다.

2. 정보통신기술(IT) 분야

  • 이스라엘은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높은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안기술로 유명합니다.
  • 이스라엘은 사이버 보안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군사력

이스라엘은 중동 지역에서 군사적으로 강력한 국가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1. 병력 및 군비
이스라엘의 병력은 비군화 국민을 포함해 약 20만명 정도입니다. 이스라엘은 군비와 무기장비에 많은 투자를 하기로 유명하며, 현대화된 군사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무기 시스템
이스라엘은 군사 기술 및 무기 시스템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아이온돔과 같은 미사일 방어시스템, 무인항공기, 탱크 및 다양한 무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3.  병역제도와 군대조직
이스라엘은 병역제도를 시행하며, 국방 의무를 다하는 시민들이 예비군에서 군사 훈련을 받습니다. 이스라엘 군은 이르마크(Tzahal)라고 불립니다. 또한 이스라엘은 국제 평화 유지 노력에도 힘쓰고 있고, 유엔 평화 유지군에도 그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ㅎㅎㅎ

오늘은 다들 널리 사용하고 있는 물티슈의 유래에 대해 조사를 해봤습니다 ㅎㅎ

식당을 가도 그렇고 가정집에서 물티슈는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일텐데, 물티슈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됬는지에 대해서 한번 조사해본걸 말씀드릴게요! ㅎㅎ


물티슈의 개발

물티슈는 1950년대 미국의 화학작인 아서 스코트 (Arthur Scott)에 의해 개발되었다고합니다! ㅎㅎ 스코트는 미국의 Talcott라는 화학 제조 회사에서 일하던 중,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청소용품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물티슈를 개발하게 되었다고 하더라구요! 


물티슈를 발명하게 된 계기

물티슈를 발명하게 된 계기는 우연한 사건에서 기인했다고 하는데요. 아서 스코트는 회사의 연구소에서 실험 중에 자신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실패한 종이(?)로 실험실 도구를 청소하던 중에 이런 종이들이 청소 도구로서 활용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합니다. 그는 종이들을 물에 잠기게하여 부드럽게 만들고, 물을 빠르게 흡수하는 특성을 추가로 개발하여 물티슈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물티슈의 본격적인 사용시기 

물티슈는 처음에는 공장 및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물티슈의 인기가 크게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가정에서도 물티슈가 일회용 청소용품으로써의 가치를 알게되었다고 생각이 드네요. 그 후로 물티슈는 점차 생활용품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아기가 있는 가정에서 고급 물티슈는 필수 중의 필수죠 ㅎㅎ


물티슈와 일반 휴지의 차이점

- 물티슈는 주로 부드럽고 흡수성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주요 성분은 물, 청소 및 살균을 위한 화학성분, 보습제, 방부제, 향료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자극이 적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티슈는 아기용 물티슈, 청소용 물티슈, 메이크업 제거용 물티슈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 일반 휴지는 목재 파이버, 재활용된 종이, 또는 실물성 섬유에서 만들어집니다. 주로 종이로 이루어져있고, 추가적인 화학 처리나 보습제, 향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주로 화장실에서 사용되고 있죠. 또한 분리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있고, 이것은 배변 후 청소 및 위생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물티슈 인기 브랜드

전세계적으로 물티슈의 다양한 브랜드가 존재하고 있겠지만 물티슈 시장의 상위 3개 브랜드를 설명해볼게요! ㅎㅎ

1. Huggies(하기스)

 - 하기스는 대표적인 아기용 물티슈 브랜드 중에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브랜드입니다. 이 브랜드는 Procter & Gamble의 자회사인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가 제조하고 판매합니다.

 - 아기의 부드러운 피부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민감한 피부를 가진 아기들을 위한 라인도 제공하고 있죠. 아기 돌봄에 그 중점을 둔 브랜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Pampers(팸퍼스)

 - Pampers는 Procter & Gamble의 브랜드로, 이 역시 아기용 제품 분야에서 세계적인 브랜드입니다. 아기용 물티슈와 더불어 기저귀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도 판매하고 있쬬.

 - 높은 품질의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여 아기 피부를 보호하고 청결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3. Johnson's Baby(존슨앤존슨 베이비)

 - 존슨앤존슨의 자회사입니다.

 - 위의 2개 기업과 마찬가지로 아기용 피부를 위한 부드러운 성분의 물티슈를 판매합니다.

 

이걸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물티슈가 물론 청소용 도구로써도 많이 사용되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아기용 피부를 위한 목적이 가장 크게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ㅎㅎ

 

 

 

안녕하세요 ㅎㅎ

오늘은 제가 평소에 항상 착용하고 다니는 렌즈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어서 정보를 좀 찾아보았습니다


콘택트 렌즈의 발명

콘택트 렌즈의 아이디어는 16세기 이탈리아 철학자이자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되었다고 합니다 ㅎㅎ 하지만 그 당시에는 그 아이디어가 구체화되지는 못했다고 하더라구요

 

실제로 콘택트 렌즈의 개념과 발명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진전을 이루었다고 합니다 ㅎㅎㅎ 1887년, 독일 과학자인 에워하르트 폰 로엔쯔크라우트(F.A. von Rohr)가 유리로 만든 최초의 콘택트 렌즈를 개발했다고합니다. 하지만 이 콘택트렌즈는 안구에 불편하고 실용성이 떨어져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고 하죠 ㅠㅠ

 

20세기 초, 체코 출신의 과학자닝 오토 비그크 (Otto Wichterle)가 콘택트 렌즈의 현대적인 형태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1959년 , 비그크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유연한 플라스틱 소재인 하이드로젤을 개발했습니다. 이 소재는 안구에 편안하게 착요할 수 있어서 콘택트 렌즈 제조에 이용되었다고 하죠 ㅎㅎ

 

이후 안경을 대체하고 시력 교정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수요가 커지면서, 특히 스포츠, 군사, 의료 분야에서 안경 대신 콘택트 렌즈의 수요가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콘택트 렌즈의 시장 규모

좀 조사해보면서 정확한 정보를 알 수는 없었지만, 전세계 연간 콘택트 렌즈 사용량은 수억 개에 이른다고 하더라구요. 이 수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시력 교정 및 미용적 이점으로 사용자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의 콘택트 렌즈 사용량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렌즈 생산 및 수출국으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스타일과 종류의 렌즈가 국내시장에 출시되고 있고,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ㅎㅎ


콘택트 렌즈의 대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시장에는 다양한 브랜드가 존재하지만, 대표적인 3개의 브랜드를 설명해드릴게요 ㅎㅎ

1. 알콘 (Alcon)

알콘은 콘택트 렌즈와 안약을 비롯한 안과 의료 기기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 중에 하나입니다. 알콘은 높은 품질의 콘택트 렌즈와 안약을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ㅎㅎㅎ 알콘은 연구 개발비에 큰 투자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렌즈를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브랜드입니다 ㅎㅎ

2. 존슨앤존슨 비전케어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존슨앤존슨 비전케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의료 기업인 존슨앤존슨의 하위 기업으로 안과 의료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브랜드는 ACUVUE (아큐브) 라는 콘택트 렌즈를 생산하고, 편안한 착용감이 장점이죠 ㅎㅎ 

ACUVUE 콘택트 렌즈는 렌즈 소재와 습기와 산소 투과성을 최적화해서 안구 건강을 보호한다고 합니다 ㅎㅎ

3. 바우시론&롬 (Bausch + Lomb)

바우시론&롬은 광학 및 의료 기기 분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로 콘택트 렌즈와 안과 제품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ㅎㅎ 제가 사용하는 렌즈 점안액인 re-nu를 제작하는 회사이기도 하죠! ㅎㅎ

 

 

소관부처. 지자체 : 중소벤처기업부

사업수행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신청기간 : 2023.10.04 ~ 2023.10.25

사업개요 :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중 수출초보기업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해 「2023년도 한국무역보험공사 연계 수출지원프로그램」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참여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안내에 따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수행기업 중 최근 5년 이내에 "성공(완료)" 판정을 받은 수출지원프로그램 선정 후 1년 내 수출계획이 있는 중소기업

 

☞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 수출컨설팅, 신용조사, 수출신용보증(선적전ㆍ선적후) 지원

- 수출기업 리스크 관리 : 단체보험 가입, 단기수출보험(선적후) 보험료 할인

- 수출컨설팅 제공 : 수출기업을 위해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신청기업의 1:1 수출컨설팅 제공

- 신용조사 : 해외기업 신용조사에 대한 요약보고서 또는 Full Report를 기업별 연간 5회 무료 제공

- 수출신용보증(선적전ㆍ선적후) : 수출신용보증(선적전ㆍ선적후) 지원 및 보증료 할인

사업 공고 링크 : https://www.smtech.go.kr/front/ifg/no/notice02_detail.do?buclYy=&ancmId=S02677&buclCd=S9121&dtlAncmSn=1&schdSe=MO5005&aplySn=1&searchCondition=&searchKeyword=&pageIndex=1

 

R&D 사업공고 -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내용 2023년도 제4차 한국무역보험공사 연계 수출지원프로그램 시행계획 공고 중소기업 R&D 수행기업 중 수출초보기업의 수출역량 강화를 위해「2023년도 한국무역보험공사 연계 수출지원프로그

www.smtech.go.kr

(참고)+수출지원프로그램+세부+프로그램별+안내자료.hwp
0.17MB
2023년도+제4차+한국무역보험공사+연계+수출지원프로그램+시행계획+공고.hwp
0.06MB
수출지원프로그램+신청방법+및+작성안내.pdf
1.52MB

소관부처. 지자체 : 광주광역시

사업수행기관 :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신청기간 : 예산소진시까지

사업개요 : 광주광역시는 고금리ㆍ고물가ㆍ고환율 등 경제위기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하여 '영세 소상공인 임대료 지원사업'의 참여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사업장 소재지가 광주광역시인 사업공고일(2023.5.3.) 기준 6개월 이상 영업 중인 소상공인

 

☞ 월 임대료 최대 30만원, 3개월 지원(최대 90만원)

사업 공고 링크 : http://gewf.or.kr/cms/bbs/cms.php?dk_cms=comm_01&dk_id=1681

 

공지사항 > 정보자료실 :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경제상생 공고 2023-104호 영세 소상공인 임대료 지원사업 모집 변경 공고  광주광역시는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경제위기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완화를

gewf.or.kr

영세+소상공인+임대료+지원사업+변경+공고문_231005.hwp
0.14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