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새 캐나다와 인도 간의 분쟁이 심해지고 있죠 ㅠㅠ 전세계적으로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좋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캐나다라는 국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 합니다 ㅎㅎ
캐나다의 역사
1. 원주민의 캐나다
캐나다의 역사는 수천 년 동안 원주민들이 이 지역에서 살아온 역사로 시작됩니다 ㅎㅎ 원주민들은 수천 년 동안 북아메리카 대륙을 횡단하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가졌습니다. ㅎㅎ 사냥,어업,농업,예술 및 신앙 실천 등 다양한 생활 양식을 가지고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를 생성했습니다
2. 유럽의 도착
15세기 말, 유럽 탐험가들이 북아메리카에 도착했습니다. 1497년 이탈리아 탐험가 존 카보트는 뉴펀들랜드의 북부를 발견했고, 그 후 프랑스와 영국의 탐험가들이 이 지역을 탐험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탐험은 유럽인들과 원주민들 간의 교류의 교역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3. 뉴프랑스와 영국 식민
16세기 말, 프랑스 탐험가들은 뉴프랑스라는 명칭으로 캐나다의 일부 지역에 식민지를 설립했습니다. 뉴프랑스는 현재의 캐나다와 미국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광대한 영토였습니다. 동시에 영국은 뉴스코샤와 뉴브런즈윅 지역에도 식민지를 만들었죠. 이 상황에서 뉴프랑스의 세력은 계속해서 커져갔습니다.
4. 팔팔틴 전쟁과 뉴프랑스의 양도
팔팔틴 전쟁(1756~1763)은 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으로, 그 결과로 프랑스는 뉴프랑스의 대부분을 영국에 넘겨주게 되었습니다. 1763년 파리 조약으로 뉴프랑스의 양도가 확정되었는데, 이것은 캐나다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영국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캐나다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죠.
5. 아메리칸 혁명과 유엔 연합
1775년, 미국에서 아메리칸 혁명이 시작되면서 많은 유엔 식민지가 북쪽으로 이주했고, 이를 기반으로 캐나다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1783년 파리 조약으로 영국은 미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많은 이주민으로 캐나다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갖춘 지역이 되었습니다.
6. 1867년 대영 북아메리카 연합
1867년 캐나다,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그리고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가 대영 북아메리카 연합을 구성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통치 아래 자치 정부를 수립했습니다. 이로써 캐나다는 현재의 영토를 차지하게 되고 토론토를 수도로 정하고 자치 정부를 수립했습니다.
7. 철도와 서부개척
19세기 말, 캐나다는 철도 건설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광산 개발을 하면서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철도망은 동부, 서부 캐나다를 연결하면서 서부로의 이민과 자원개발을 촉진했습니다.
8. 자치권 확장
20세기 초, 캐나다는 점차적으로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더 보장받게 됩니다. 1931년 웨스트민스터 입법으로 캐나다는 외교적으로 완전한 자주성을 획득했습니다. 1982년에는 캐나다 헌법을 개정하면서 완전한 헌법적 독립을 이룩했습니다. 이로써 캐나다는 외부 국가의 개입 없이 자신의 법률과 헌법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했죠
캐나다의 영토와 인구
1. 영토와 지리적 특성
캐나다의 영토는 9,984,670 제곱 킬로미터로, 세계에서 다섯손가락 안에 꼽히는 큰 국가입니다. 국가 전체는 대륙적 규모로, 동부에서 서부로 5,500킬로미터 이상, 남부에서 북부로 약 4,600킬로미터 이상에 걸쳐져 있어서 다양한 기후와 지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북부 지역은 대부분 깊은 숲, 빙하, 산악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부 지역은 주로 숲과 호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캐나다는 3개의 대양과 접해 있어 해안선이 길고, 대서양과 북극 해양의 영향을 받습니다.
2. 지리적 구획
캐나다는 10개의 주(프로빈스)와 3개의 테리토리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주는 뉴펀들랜드와 래브라도,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스코샤, 브루스 콜룸비아, 알버타, 사스카츄완, 매니토바, 온타리오, 퀘벡, 노바스코샤, 노스웨스트 테리토리, 요크 지역, 눈빈 테리토리 등으로 나뉩니다.
3. 인구와 다문화 사회
캐나다의 인구는 대략 4000만 명으로 추정되며, 계속해서 인구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다문화 사회로 알려져 있어, 다양한 인종, 문화, 언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이민은 캐나다의 인구 증가와 다양성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모두가 알듯이 캐나다는 이민자를 굉장히 환영하는 나라이죠.
4. 도시와 인구 분포
캐나다의 인구는 주로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토론토, 몬트리올, 벤쿠버, 캘거리, 에드먼턴 등의 대도시가 인구 밀집 지역으로서 높은 인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토론토와 몬트리올은 캐나다의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업종과 다문화 사회가 혼재하는 도시입니다. 벤쿠버는 멋진 자연 환경과 금융 분야에서의 중요성으로 높게 평가되며, 캘거리와 에드먼턴은 자원 개발과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죠.
5. 원주민과 인디진어스 커뮤니티
캐나다의 원주민 및 인디진어스 커뮤니티는 국가의 인구 구성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들은 지속적으로 문화적 이벤트와 축제를 개최하고 자신들의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6. 언어와 다양성
캐나다는 공식 언어로 영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퀘백 주는 프랑스가 주요 언어이고, 온타리오와 다른 주는 주로 영어를 사용합니다.
캐나다의 경제
1. GDP 및 경제 성장
캐나다의 GDP는 2조 달러 이상이 되는 것으로 추산되며, 주요 부문으로는 자원개발, 제조업, 서비스 산업, 기술 및 정보 기술(IT) 등이 있습니다. 자원 개발은 캐나다 경제의 중심 부문 중 하나로 석유, 천연 가스, 광물 자원, 임산물 등이 풍부합니다.
2. 주요 산업 부문
- 자원개발 : 캐나다는 세계에서 주요 석유 및 천연 가스 생산국 중 하나로, 알버타주의 오일샌드와 사스카츄완의 유막에서 다량의 에너지 자원을 생산합니다. 또한 광산에서는 금, 니켈, 알루미늄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을 채굴합니다.
- 제조업 : 자동차, 항공기, 철강, 목재 가공 및 식품 제조 등 다양한 제조업 분양에서 산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산업 : 금융, 보험, 의료, 교육,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정보 기술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 분야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3. 국제무역
캐나다에게 미국은 가장 큰 무역 파트너로서, 캐나다의 수출의 대부분이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석유, 자동차, 천연 가스, 광물, 목재, 철강 제품 등이 있고,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기계류, 전자제품, 의약품, 차량 부품 등이 있습니다.
캐나다의 이민 정책
1. 주요 이민 프로그램
- 경제 이민 프로그램 : 캐나다는 경제적으로 가차 있는 이민자를 데려오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FSWP), Canadian Experience Class(CEC), Provincial Nominee Program(PNP), 그리고 Express Entry System 이 있습니다. 이들 프로그램은 이민자들의 연령, 언어 능력, 학력, 경험, 직업 기술 등을 평가하여 이민자를 선택합니다. 특히 Express Entry System은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민 신청서를 처리하며, 높은 점수를 받은 이민자들에게 영주권을 부여합니다.
- 가족 이민 프로그램 : 캐나다는 가족 단위의 이민을 지원합니다. 가족 단위 이민 프로그램으로는 Spouse or Common-Law Partner Sponsorship Program, Parent and Grandparent Sponsorship Program 등이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을 통해 캐나다에 이미 거주하는 가족이 다른 가족 구성원을 초청하여 이민을 할 수 있습니다.
- 난민 및 인권 이민 프로그램 : 캐나다는 난민과 인권을 침해받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죠.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Refugee and Humanitarian Resettlement Program 과 Private Sponsorship Program이 있으며, 난민 신청자 및 인권 침해 피해자에게 도움을 줍니다.
2. 이민자 선발 기준
- 나이 : 캐나다는 18세에서 54세 사이의 이민자를 선호합니다.
- 언어 능력 : 이민자는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IELTS 나 TEF 등의 언어 시험을 통해 언어능력을 측정합니다.
- 학력 : 고등 교육 또는 학사 학위를 가진 이민자가 높은 점수를 얻습니다.
- 직업 경험 : 캐나다는 이민자의 이전 직업 경험을 평가하며, 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과 Express Entry System 에서는 직업 경험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합니다.
- 고용 잠재력 : 캐나다에서 적절한 직업을 찾을 수 있는 능력도 평가대상입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에 대하여 (건국, 영토, 인구, 경제 등등) (0) | 2023.10.19 |
---|---|
팔레스타인에 대하여 (건국, 영토, 인구, 경제 등등) (0) | 2023.10.13 |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정보 (4) | 2023.10.11 |
물티슈의 유래 및 정보 (2) | 2023.10.10 |
콘택트 렌즈의 유래 및 정보 (2) | 2023.10.09 |